산업.노동.안전

“기업 생존, 노사 공동의 ESG 실천에 달려”

더좋은환경 2024. 2. 13. 17:17

노동 기준·가치 다소 허술한 국내, 적극적인 노조 참여‧견제 필요
“난립한 평가기준 확립, 기업 자발성 기초로 규칙·체계 확립해야”

ESG 경영을 소홀히 할 경우 기업은 글로벌 경쟁력 상실뿐만 아니라 생존 위기에 빠질 수 있는 시대가 온 것이란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위 이미지는 지난 2일 김성주‧민병덕 의원, 산업정책연구원, 서울과학종합대학원, 한국노총, 한국경영자총협회 주최로 국회에서 열린 ‘노사협력 ESG 실천, 노사관계의 지속가능한 미래 토론회’ 전경 /사진=김인성 기자

 

[국회=환경일보] 김인성 기자 = ESG(환경, 사회, 기업 지배구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업은 더 높은 수준의 환경, 사회, 지배 구조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됐다.

지속가능성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해지면서 기업은 단순히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넘어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이해관계자들의 기대와 요구에 부응하는 이해관계자 경영을 요구받고 있다.

ESG가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가장 구별되는 점은 ESG에는 금융과 기관들의 ESG 평가를 바탕으로 한 ‘투자’가 개입돼 있는 것이다. ESG를 잘하는 기업은 투자를 유치할 수 있다.

반면, CSR은 직접적인 투자 유치보다 장기적인 성과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낮거나 부조화가 발생한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글로벌 투자자들은 투자대상 기업에 ESG 경영을 적극적으로 요구하고, 유럽과 미국의 대기업들은 공급망 사슬의 차원에서 거래 상대방의 ESG 평가를 바탕으로 거래 지속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ESG 경영을 소홀히 할 경우 기업은 글로벌 경쟁력 상실뿐만 아니라 생존 위기에 빠질 수 있는 시대가 온 것이란 분석이다.

한편 ESG가 기업담론의 대세로 등장했지만 개념의 모호성에 대한 문제점은 해소되지 않은 상황이다. 영역마다 시기마다 개념도 다르고 강조점도 차이가 난다.

이에 따라 ESG 투자, ESG 경영, ESG 전략, ESG 국제규범, ESG 규제 등 역사적 기원으로부터 출발해 확산의 의미와 전개 방향을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투자, 경영의 관점과 국제 규범 관점의 통합적 이해가 중요한 시점이다.

또 기업의 생존은 노동자들에게도 중요한 문제다. 또 지속가능성은 인류 전체가 직면해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ESG 이슈는 노측과 사측의 입장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내실 있는 ESG 경영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노조의 적극적인 참여와 견제는 필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더 나아가 노조의 참여는 우리나라가 안고 있는 노사관계, 노동환경,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등에 대한 문제를 다룸으로써 ESG 중 ‘노동’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다.

*기사 전문

https://cms.hkb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43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