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병해충 등 재해 확대, 산지전용으로 산림면적 감소
산림경영 인프라 부족, 열악한 사유림 경영 환경도 문제
세계 주요국, 탄소중립 위한 산림 전략·정책 확대 강화
[환경일보] 김인성 기자 = 숲은 생명의 터전일 뿐 아니라 날로 가속화하는 기후위기 상황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소중한 자원이다. 산림은 인위적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CO₂)의 약 31%를 흡수하는 중요한 탄소흡수원이기도 하다.
하지만 기후변화는 산업, 사회, 경제는 물론 자연환경(산림)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산림에 미치는 영향은 ▷산림 식생대 이동 ▷숲의 구조 변화 ▷생물계절과 다양성 변화 ▷산림재해 발생 증가 ▷자연 교란에 의한 피해·영향 증가 ▷해충, 질병 발생 증가 등이 있다.
실제 구상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고도에 서식하는 금강소나무도 고사가 확인되고 있다. 금강소나무의 고사는 기후 스트레스로 인한 영향이 침엽수 전반으로 퍼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기후변화가 진행됨에 따라 미래에는 북부지역의 산림병해충 피해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2050~2070년대에는 충남과 경기지역까지 피해심화지역이 되며, 2090년 이후에는 전국에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RCP 8.5 시나리오의 2041년 이후 결과에서는 산사태 위험 지역의 최대치가 크게 증가해 대형 재해의 위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대표농도경로)란 인간 활동이 대기에 미치는 복사량으로 온실가스 농도를 예측하는 시나리오다.
현재 한국 산림은 약 4050만톤(2020년 기준)의 이산화탄소 순흡수량을 보이고 있어, 국가 배출량(6억5600만톤)의 6.2%를 상쇄하나 감소 추세다. 또 산불‧산사태‧병해충 등 재해 대형화‧빈번화, 산지전용으로 산림면적 역시 감소 중이다.
열악한 사유림 환경, 임도 밀도 하위권으로 이어져
이와 더불어 산림경영 인프라 부족과 열악한 사유림 경영 환경도 문제다. 임도 밀도(m/ha)를 기준으로 독일 54, 오스트리아 50.5, 일본 23.5, 캐나다 10.3, 미국 9.5이나 한국은 3.97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OECD 보고서(2020)에 따르면 연간 생장량 대비 목재수확량 비율이 OECD 국가 절반 수준으로 목재 자급률은 ‘15%’ 정도다. 산림 1ha당 연간 임목 평균 생장량도 현재 4.3㎥에서 50년 1.9㎥로 50% 이상 하락했다.
임목의 생장량 감소는 탄소흡수량의 감소로 이어지고, 지금과 같은 추세에서는 2050년 산림 흡수량은 약 1400만톤 불과할 전망이다.
이에 기후위기 속 숲의 의미를 재조명하고 산림의 역할과 대책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고등교육재단, 사회적가치연구원, 최종현학술원은 ‘2024 과학혁신 시리즈: 탄소중립과 산림, 한국의 리더십과 기후위기, 숲에서 길을 찾다’를 주제로 세미나를 열어 세계 주요 전문가들과 논의를 진행했다.
*기사 전문
'기후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재난 정도는 기후적응 여부에 달려, 회복탄력성 개선 중요” (0) | 2024.05.29 |
---|---|
아시아 지역, 홍수 취약성 및 폭염 영향 심각 (0) | 2024.05.29 |
“당신의 몸속에 쌓이는 플라스틱 유해물질··· 두고 볼 텐가?” (0) | 2024.04.22 |
2023년 장마 강수량 역대 3위‧‧‧ “다각적인 서울 침수 대응책 필요” (0) | 2024.04.12 |
극한 기후변화, 1200년 만의 대가뭄 현실화 (0) | 2024.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