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생태

핵오염수‧온난화로 수산자원 위기··· “바다숲‧해조류 주목해야”

더좋은환경 2023. 12. 3. 17:31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류 후 소금 등 ‘안전먹거리’ 국민 관심사
해조류, 해양 오염원 조기 경보··· 바다숲 1㎢당 연 337톤 CO₂ 흡수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이후 지속가능한 수산자원 보호관리와 해양 혁신을 향한 글로벌 전략 포럼’  /사진=김인성 기자

 

[국회=환경일보] 김인성 기자 =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국가인 우리나라에서,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류 이후 수산생물을 비롯한 소금 등 안전한 먹거리는 국민적 관심사로 떠올랐다.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뿐 아니라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은 식량생산의 본거지인 저지대 평야가 침수돼 식량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유럽에서 해조류는 지구위기와 환경오염 속에서 인간의 건강지킴이로도 주목받고 있다.

해조류는 해양의 먹이생태계에서 광합성을 통해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기초생산자이며, 부착생물로서 해양 오염원에 대한 생물학적 조기경보 체계를 확립할 수 있는 생물 지시자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해조류는 중금속, 방사능, 부영양화물질을 흡착 및 제거하는 생물정화자로서 청정한 해양환경을 만들고 해조류를 이용한 정화된 해수로 해양과 육상에서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하는 데 이점이 많다.

 

FAO “해조류, 기아‧기후 문제 해결할 수 있어”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해조류가 인류 기아문제와 기후변화에 이르기까지 전 지구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동맹이 될 수 있다”고 했으며, 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선언하면서 해조류가 새로운 탄소흡수원으로 대두되고 있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해조류를 이용한 ‘블루 이코노미’의 잠재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있는 상태다. 이러한 국제적인 추세로 해조류 양식국가는 2000년 24개국에서 2020년 52개국으로 증가했다. 아울러 세계자연기금(WWF)은 해조류 양식을 생태 보존과 해양 식량산업으로 생각해 2023년 4월에는 미국, 영국과 캐나다의 WWF 회원, 기업체와 연구자가 해조류 양식기술을 선도하는 한국을 방문해 완도군의 해조류 양식장을 견학하고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한 바 있다.

 

환경오염과 기후위기 시대에 맞는 안전한 수산물 양식을 위한 시스템 등을 논의하기 위해 최재형 의원실‧대한민국 국회‧GHENT UNIVERSITY GLOBAL CAMPUS‧MARINE UGENT는 24일 국회도서관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이후 지속가능한 수산자원 보호관리와 해양 혁신을 향한 글로벌 전략 포럼’을 열어 심층 토론을 진행했다.

 

* 기사 원문

https://cms.hkb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36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