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E‧RE100 공존’‧‧‧ “이니셔티브 한계 보완 및 탄소중립 시너지”
국제 에너지, 청정에너지 기술 광물의 공급 불안 및 가격 급상승
재생E, 청정수소, SMR, CCUS 등 무탄소 기술 잠재력 논의 활발
[환경일보] 김인성 기자 =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기본적인 방향은 화석연료 체계를 무탄소 에너지 체계로 전환하는 것이다.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각국은 무탄소 에너지 개발 및 투자를 증대시켜야 한다.
COP28 합의에 따라, 우리나라를 포함한 약 130개국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용량을 3배로 확충하고 에너지 효율을 2배로 증대하는 목표에 동참하게 됐다. 재생에너지 용량의 3배 확대와 에너지 효율의 2배 개선이 기후변화 대응에 중요한 과제이지만, 실천하는 데는 매우 도전적인 목표에 해당한다.
아울러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재생에너지의 전례 없이 빠른 보급 등으로 인해 국제 에너지 및 청정에너지 기술 광물의 공급 불안 및 급격한 가격 상승을 경험했고, 궁극적으로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보의 가치가 병행돼야 함이 인지된 상황이다.
현재 기후 이슈의 통상 규범화 경향이 심화하고 있다. 기후위기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탄소 집약적인 제품에 대한 수입을 규제해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기후와 통상 의제를 연계시키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국제 탄소중립 규제 강화, ‘무탄소에너지’ 관심↑
EU 탄소국경조정제도 등 탄소중립과 관련된 규제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무탄소, 저탄소 기술은 더 많은 관심과 투자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재생에너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무탄소에너지원을 활용해 국내 상황에 맞는 청정에너지 인프라를 구축하고, 국가별 여건에 적합한 탈탄소 전환이 가능하게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탄소중립을 위한 기술 활용에도 리스크 분산이 필요하며, 우리가 보유한 에너지 인프라와 기술 역량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기사 전문
https://cms.hkb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49229
'산업.노동.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미래 산업은 ‘에너지다소비’‧‧‧ “분산에너지 구축 시급” (0) | 2024.07.29 |
---|---|
세계 경제 패러다임 변화‧‧‧ 탈탄소 규제‧공급망 전환 가속화 (0) | 2024.03.29 |
탄소중립 혁신기술 75% 상용화 미흡‧‧‧ “정책 보증은 필수” (0) | 2024.02.15 |
“CCUS 없이 완전한 탄소중립 불가능” (1) | 2024.02.13 |
“기업 생존, 노사 공동의 ESG 실천에 달려” (0) | 2024.02.13 |